토끼와 옹달샘 이야기 토끼와 옹달샘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다실(茶室) 이야기 2년 전, 경기도 가평의 한 시골 카페에 걸려 있던 현판 ‘차와 음악이 있는 사유(思惟)의 공간’을 보고 멋있는 표현이라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다. 철학적 개념으로 살펴보면, 사유(思惟)는 ‘인간의 가장 고차적인 심적 능력으로, 판단, 추론 등을 통해 보편과 본질을 파악하는 정신 작용’이라고 합니다. 일반적 개념은 ‘어떻게 이해하고 또 행동해야 할 것인가를 헤아리는 정신 활동으로 대상을 두루 생각하는 것... 물소리 새소리 바람 소리 5월이 가까워지면 유난히 새소리가 많이 들립니다. 정문 앞 전신주에는 까치가 시끄럽고, 다실 창밖의 소나무 가지에는 작은 새들이 분주합니다. 새들은 아침과 번식기에 많이 운다고 합니다. 아침엔 자신을 알리기 위해, 봄에서 여름까지는 짝을 찾기 위해 울어 댑니다. 다실 문을 여니 새소리가 더 커집니다. 녀석들이 닭장 옆에서 모이 다툼을 하고 있는 게 틀림없습니다. 본관 앞으로 나서면 폭포 소리가... 머루랑 다래랑 살다 보면 예상치 못한 행운을 만날 때가 있다고들 합니다. 로또 1등의 행운은 감히 넘볼 수도 없는 천운(天運)이겠지만, 인기 높은 아파트 입주권에 당첨된 행운은 주변에서도 자주 들립니다. 그러나 나에게는 그런 기회가 없었던 것 같습니다. 행운의 기억을 찾으려 애를 쓸수록 억세게 운이 나빴던 기억들이 먼저 일어섭니다. 그랬던 내가 이곳 ‘토끼와 옹달샘’에서 큰 행운을 만났습니다.덩치 큰 자연석들이 물 ... 물레방아 도는 내력 '산 좋고 물 좋고 정자 좋은 곳은 없다'는 속담은 세상사 입에 맞는 떡은 없는 법이니, 일장(一長)에 따라붙는 일단(一短)을 수용하고 만족하라는 말로 쓰입니다.그러나 토끼와 옹달샘 오르다 보면, 어쩌면 이곳이 물 좋고 정자 좋은 곳이 될 수도 있었겠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이곳을 매입할 당시는 지금의 별관터를 제외한 모든 곳이 덤불로 덮여있었습니다. 몇 개월 동안 밀림 같던 수풀을 걷어 내고서야 지... 내가 이걸 어떻게 키운 건데...... 한여름 더위가 목까지 차오르는 삼랑진 장터의 오후 늦은 시간. 장마당에서 한 블록 쯤 들어앉은 마트로 들어서는 길목에 노쇠한 시골 할머니가 깔아 놓은 자그마한 좌판이 있습니다. 좌판에는 상추와 고추, 깻잎, 부추 등과 같이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밭작물들이 오막조막 놓여 있습니다.거기에서 한 중년 여인이 흥정을 벌입니다. 고추를 사려던 중년 여인은 할머니가 올려준 덤이 적다고 합니다. 할머니는 고... 복덩이 황구야 미안하다 복덩아 잘 지내고 있지?오늘 너를 데려간 연수원 아저씨가 보낸 사진을 보니 반갑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미안한 마음이 가시지 않는구나.처음 네가 연수원에 왔을 때, 그 모습이 참 멋있고 당당해 보였었단다. 그리고 네 이름대로 우리 연수원에 정말 복덩이가 들어왔다고 생각했었지.네가 오기 며칠 전, 연수원에 작은 사고가 있었단다.방사해 키우던 닭들이 이름 모를 산짐승에게 물려 다섯 마리가 죽었고, 또 일주... 처음 이전 1(current) 다음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