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현황
Total : 9,953
번호 | 도서 번호 |
장르 | 도서명 | 저자 | 출판사 | 보관 장소 | 대출 신청 |
---|---|---|---|---|---|---|---|
7453 | 624 | 시 | 2013 충렬공 박제상 추모 전국 백일장 | 사)한국문인협회 양산지부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
7452 | 632 | 시 | 시의 강물도 서운암에 이르면 만송이 꽃으로 피어난다 | 꽃축제시화집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
7451 | 1144 | 문학일반 | 왕비가 된 궁녀, 장 희빈 | 신형식 | 한국헤밍웨이 | 토끼와 옹달샘 (배움당아동) |
![]() |
7450 | 623 | 시 | 내 영혼은 그리움이다 | 이재준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
7449 | 631 | 시 | 해외자매도시 문학작품집 | 부산예술제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
7448 | 622 | 시 | 수석별부 | 박두진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
7447 | 570 | 시 | 늦기 전에 | 김재원 | 해암 | 토끼와 옹달샘 (시(詩)원두막) |
![]() |
7446 | 621 | 시 | 인생, 그리고 나의 시 | 방정민 | 그림과책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45 | 569 | 시 | 다듬이 소리 | 송소현 | 세종출판사 | 토끼와 옹달샘 (시(詩)원두막) |
![]() |
7444 | 620 | 시 | 한송이 꽃으로부터 | 황예순 | 세종출판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43 | 619 | 시 | 시간의 꽃 | 박미정 | 세종출판사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42 | 568 | 시 | 세상이 나에게 | 박미정 | 말씀 | 토끼와 옹달샘 (시(詩)원두막) |
![]() |
7441 | 618 | 시 | 한국현대시문학대계 | 박두진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
7440 | 1143 | 문학일반 | 쫓겨나는 남인들 | 신형식 | 한국헤밍웨이 | 토끼와 옹달샘 (배움당아동) |
![]() |
7439 | 1142 | 문학일반 | 상복 싸움에 멍드는 나라 | 신형식 | 한국헤밍웨이 | 토끼와 옹달샘 (배움당아동) |
![]() |
7438 | 617 | 시 | 늦기 전에 | 김재원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
7437 | 1141 | 문학일반 | 북벌의 뜻을 이루지 못하다 | 신형식 | 한국헤밍웨이 | 토끼와 옹달샘 (배움당아동) |
![]() |
7436 | 616 | 시 | 세계여행시집 | 정영자 | 세종출판사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35 | 615 | 시 | 게스트 하우스 | 김예진 | 한국문연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34 | 1140 | 문학일반 | 여진족에 무릎을 꿇다 | 신형식 | 한국헤밍웨이 | 토끼와 옹달샘 (배움당아동) |
![]() |
7433 | 614 | 시 | 산길을 걸으며 | 정해원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
7432 | 613 | 시 | 금샘을 찾아서 | 이영일 | 빛남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31 | 612 | 시 | 밥알을 삼키며 | 박미영 | 푸른별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30 | 611 | 시 | 바다, 짐승이 우글우글하다 | 이윤길 | 전망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29 | 567 | 시 | 허무를 듣다 | 김순자 | 두손컴 | 토끼와 옹달샘 (시(詩)원두막) |
![]() |
7428 | 566 | 시 | 낙엽단상 | 박옥위 | 목언예원 | 토끼와 옹달샘 (시(詩)원두막) |
![]() |
7427 | 565 | 시 | 세상 | 박태영 | 한글 | 토끼와 옹달샘 (시(詩)원두막) |
![]() |
7426 | 610 | 시 | 푸른 파도에게 | 김순아 | 정은출판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25 | 609 | 시 | 구름의 노래 | 박경원 | 차령문학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24 | 564 | 시 | 침류장편 | 김광자 | 작가마을 | 토끼와 옹달샘 (시(詩)원두막) |
![]() |
7423 | 608 | 시 | 너와 나 사이 | 정인조 | 계간문예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22 | 1139 | 문학일반 | 새로운 왕을 세우려 한 이괄 | 신형식 | 한국헤밍웨이 | 토끼와 옹달샘 (배움당아동) |
![]() |
7421 | 563 | 시 | 마등별곡 | 강민수 | 문장21 | 토끼와 옹달샘 (시(詩)원두막) |
![]() |
7420 | 607 | 시 | 프란치스코의 아침 | 강희근 | 한국문연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19 | 606 | 시 | 바위꽃이 핀다 | 정옥금 | 책펴냄열린시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18 | 562 | 시 | 숨비소리의 바다 | 현애자 | 세종출판사 | 토끼와 옹달샘 (시(詩)원두막) |
![]() |
7417 | 561 | 시 | 얼룩을 읽다 | 김경숙 | 책펴냄열린시 | 토끼와 옹달샘 (시(詩)원두막) |
![]() |
7416 | 605 | 시 | 꽃은 피다 | 박윤규 | 황금알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15 | 560 | 시 | 내 마음의 노래 | 박노걸 | 세종출판사 | 토끼와 옹달샘 (시(詩)원두막) |
![]() |
7414 | 1137 | 문학일반 | 광해군이 쫓겨나다 | 신형식 | 한국헤밍웨이 | 토끼와 옹달샘 (배움당아동) |
![]() |
7413 | 559 | 시 | 규천아 나다 형이다 | 편집부 | 자유지성사 | 토끼와 옹달샘 (시(詩)원두막) |
![]() |
7412 | 603 | 시 | 지하철이야기 | 박미정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
7411 | 1136 | 문학일반 | 나라를 위한 외교에 힘쓰다 | 신형식 | 한국헤밍웨이 | 토끼와 옹달샘 (배움당아동) |
![]() |
7410 | 602 | 시 | 시간의 꽃 | 박미정 | 세종출판사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09 | 601 | 시 | 갠지스에선 아무도 울어선 안 된다 | 정신자 | 전망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08 | 1135 | 문학일반 | 왕위를 지키려 한 광해군 | 신형식 | 한국헤밍웨이 | 토끼와 옹달샘 (배움당아동) |
![]() |
7407 | 600 | 시 | 산의 생각 | 정남순 | 세종출판사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06 | 599 | 시 | 풀꽃피는 언덕 | 성윤자 | 세종출판사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
7405 | 1134 | 문학일반 | 임진왜란 중에 세자가 되다 | 신형식 | 한국헤밍웨이 | 토끼와 옹달샘 (배움당아동) |
![]() |
7404 | 598 | 시 | 간절곶, 바닷새의 기억 | 이문걸 외 6명 | 토끼와 옹달샘 (채운당 숲마루) |
![]() |